본문 바로가기
일기/비망록

글쓰기에 대한 심심한 이야기

by 스프링데일 2017. 3. 5.

 

 

글을 쓰기를 좋아했을 때는 하루에도 두 편씩 글을 썼고, 그렇지 않더라도 계속 머릿속에서 단어들을 떠올리며 또 다른 단어를 연상하고, 이내 문장들을 만들어 하나의 글들을 귀납적으로 만들어냈다.  연역적으로 쓰는 방법도 있었지만 일기나 비망록의 대개는 해당 기간 동안 일어난 일들을 바탕으로 키워드들을 만들어낸 뒤, 그것들을 아무렇게나 섞어낸다.  그리고 어떻게든 쓰다보면 읽을 수 있는 양의 글이 만들어지곤 했었다.  물론 소재라는 것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상이 단조로울 때는 단조로운 글들 밖에 쓸 수 없었고, 최소한 그날 드라마 한편을 보거나 게임 한판을 해야 소재가 나오곤 했었다.

 

주유소에 다니던 무렵은 공부, 독서, 또는 게임이었다.  레이드를 뛰어서 오늘은 무슨 아이템을 먹다가 누구와 싸웠네, 어떻게 거래를 해서 돈을 벌었네 등등의 내용도 있었고.. 책 읽는건 좀 좋아했던 것 같아서 (물론 고전을 좋아하진 않았던 것 같다) 그 책에 나오는 멋있는 말들을 추려내어 나만의 생각을 집어넣어 내 머릿속에서 나온 글들인마냥 스스로를 위해 스스로 행동하고 했다.  그래봐야 사고실험 속에서 소재의 원 제공자를 조금이나마 멀리 떨어트리기 위한 정신적인 자위였지만, 그래도 생각에 생각이 꼬리를 물어 무언가의 시각적 표현으로 완성되는 것은 재미있엇던 것 같다.

 

대충 문체에 있어서도, 당시 읽던 책이나 보던 드라마/애니의 대사들의 영향을 받게 되어 장황해지는 경우가 있는가하면, 웃기지도 않지만 해학적으로 보이기도했고, 때로는 무슨 말을 하는건지 내가 써놓고도 모르는 것들도 있었다.  자가당착이 아닌가, 글은 나로부터 나왔는데, 내가 그 글을 설명할 수 없다면 애 초에 그 글은 나로부터 나온게 아니지 않을까.  내가 태어나기 전의 상황을 내가 고려할 수는 없는 것일테니, 자가당착에 대한 자가당착에 대한 자가당착에 대한 자가당착에 대한 어쩌고가 계속 반복되면 될 수록 글쓰기가 재미있었다.  왜 재미있었냐고? 그래도 뭔가를 계속 기록하고 있고 뭔가의 생각을 남겨놓았었잖아..

 

내가 요새 뭔가를 쓰거나 한다는건 아침에 꿈 속에서 눈을 떴을 때 핸드폰 메모앱에 생각나는 꿈 속 사람이나 사건들에 대한 키워드를 간략하게 써놓는 것 또는 회사에서 무감정의 사무메일을 쓰는 것들 뿐인데, 늘 간략 간략 간단 간단 직관 직관 단순 단순 이런 것들만 머릿속에 가득하다보니 정작 글이 또 간략하고 직관적으로 된 건 아닌데 그냥 단순해지는 바람에 글들이 무미건조해지고 그냥 글의 양 자체가 줄어버렸다.  예전엔 분명히 단어 하나만 있어도 한 문단은 쓸 수 있었는데, 지금은 단어 삼십개가 있어도 문장 하나가 안만들어진다.

 

물론 이건 필력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건 아니다.  그냥 예전에는 단어 하나만 있으면 온갖 이런 저런 생각들이 마구 떠올랐는데, 지금은 단어 열개를 줘도 별로 생각이 안난다.  오리가 있다.  오리는 조류고 가끔 노란색이나 하얀색이거나 하고 알에서 태어나고, 미운오리새끼는 백조가되고, 미운오리새끼는 내 인생이고, 그런 주제에 수명은 별로 안길고, 오리는 귀엽고, 오리가 쿵하고, 청둥오리는 철새고 푸른색 깃털 부분 색깔이 정말 예쁘고, 오리는 처음 본 동체를 자신의 부모로 인식하고 등등 여러가지가 생각나는게 예전이었다면.. 지금은 오리가 있다.  오리가 오리지 씨발 뭐 어쩌라고.  이렇게 된다. ㅡㅡ

 

생각의 회로가 멈춰가는 것인가? 아니면 오리의 날갯짓이나 생태에 관심을 가질 정도로 내 자신이 심정적으로 여유롭지 않은 것일까.  문장에 들어가는 음절의 숫자를 맞추고 음절의 부분 부분을 동일하게 만드는 운율 따위를 만드는 정도의 능력을 스스로에게 기대했던건 아니었지만, 그래도 열심히 쓰다보면 그런 경지에 조금은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은 있었던 것 같다.  그냥 글쓰기와 마찬가지다.  인생 전체가 재미없어진거야.  무감정해져가고, 수명은 들어가는데 별로 이룬건 없고, 남들은 다 김성현 너보다 잘사는 것 같지.  남들도 저마다의 걱정들이 있겠지만 네 걱정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 같지.  그러니깐 오리의 삶보다는 김성현의 삶만 걱정하지.  물론 김성현이 김성현의 삶을 걱정하는 건 잘못된 것은 아닌데, 그러다보니 정작 중요한 것들은 놓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얼마전 유동닉이 쓴 글을 봤다.  인생의 목표를 삼을 때 섹스에 목숨걸지 말라는 취지의 내용이었는데,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성적으로 범죄 또는 사회적 지탄을 받을 일들을 저지르는 경우, 그들은 최소한 자신들의 일차적인 목표 - 이를테면 되고 싶은 직업을 가졌다거나, 안정적인 가정을 꾸렸다거나, 모든 버킷리스트를 완료해서 더 이상 심심하다거나 - 들을 성취해놓고 부가적으로 섹스를 갈구한다는 것에 비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저 섹스 섹스 섹스 섹스 !! 쎢쎾쓰! 거리며 심신적 외로움을 달래고자 한다는 것.  이건 게이나 레즈비언이나 호모나 정상인이나 다 똑같은 것이다.  몸을 섞거나 함으로써 자신이 살아있음을 느끼려는, 그리고 성적 정체성 따위는 이 경우엔 별로 중요하지 않은지도 모르겠다, 그렇다고해도 김성현은 이성애자다.

 

그랬기에 카츠라기 미사토는 헤어진지 7년이 넘었던 전남친을 만나서도 자신이 살아있음을 느끼고 싶어했고, 어쨌거나 저쨌거나 세계는 멸망했다.  그래도 미사토나 카지 정도면 일차적인 목표 같은 것들을 어느 정도 이룬 사람들이 아닐까.  하지만 어쩌라고? 동물이니깐 그런거야.  적국 왕자를 좋아했으니깐 자명고를 찢은거고, 짐은 국가와 결혼했어도 애인들은 있었던거야.  아마 그건 다 똑같을거야.

 

...다시 원래 주제로 돌아와서 말하자면 (원래 주제가 맞나?) 나이가 들면서 추구할 수 있는 것들의 감소나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점점 생각의 범위가 줄어든다는겁니다.  30년 전에는 분명 안그랬을거야..

 

글쓰기 어쩌고라고 제목을 썼지만 뭔가 결론이 이러냐.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쓰여진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안녕..

'일기 > 비망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의 행방  (0) 2017.06.03
꿈, 심층심리  (0) 2017.04.01
작은 수레  (0) 2017.03.02
불면증  (6) 2016.07.29
도착한 경계선  (6) 2015.05.16